CCA란 무엇인가요?
CCA란 Cold Cranking Ampare의 약자로 저온 시동능력이라고 합니다.
즉 일정한 저온에서 얼마만큼의 고율방전 능력이 있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CCA 값이 높은 제품은 그만큼 저온에서 높은 전류를 사용하여 시동력을 높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AH란 무엇인가요?
Ampere Hour의 약자로 Ampere는 전류의 기본 단위이고 Hour은 시간 표시입니다.
즉, 50AH란 1시간에 전류 50A를 흘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50A 배터리에 12V,10A 용 전구를 달았다면, 이때 배터리가 견딜 수 있는 시간은 5시간(50A ÷ 10A = 5H)이 됩니다.
RC란 무엇인가요?
Reserve Capacity의 약자로 보유 용량의 표시입니다.
배터리를 27℃에서 25 암페어로 방전하여 종지 전압이 10.5 Volt (Cell 당 1.75 V)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분 단위의 시간을 말합니다.
배터리 제조일자 확인 방법
제조사에서 출고될 때에 플라스틱 케이스 상단에 점자로 표시되어 출고가 됩니다.
배터리 손잡이 주변이나 충전지시계 주변에 제조일자가 찍혀있어 확인이 가능하며,
제조사별로 사용설명서나 라벨에 읽는 방법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25 - 07 - 2020 B
① ② ③ ④
① 제조 일자
② 제조 월
③ 제조 연도
④ 제조 라인
※ 2020년 7월 25일 생산된 배터리
"배터리판다"는 최신 정품 인증점입니다.
충전했는데 또 시동이 안 걸리는 이유는?
배터리를 보충전(점프)한 후 만충전될 때까지 충전시키지 못했기 때문이거나, 배터리가 수명을 다해 전류를 저장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보충전(점프)을 실행한 후에 일반적으로 만충전을 위해서는 80km/h 이상 속도로 최소 2시간이상 운행해야 합니다.
재차 실행하였지만 같은 상태가 반복된다면 배터리를 교체해야 합니다.
시동 테스트를 통한 차량 이상 유무 확인
STEP 01
시동 걸 때 "끼리릭" 소리가 나고 시동이 걸리지 않을 경우.
배터리 출력이 약할 경우 사용기간 확인 후 새 제품으로 교환.
단자 체결은 이상이 없으며, 단순 배터리 방전의 경우 충전.
팬 벨트가 느슨한 경우 교체.
STEP 02
시동 걸 때 "틱" 소리가 나고 시동이 걸리지 않을 경우.
배터리 충전은 이상 없으며 단자 접촉 불량의 경우, 단자와 터미널 사이의 연결부위 점검.
문제가 지속될 경우 차량 점검 진행.
STEP 03
시동 걸 때 "턱" 하는 둔탁한 소리가 나고 시동이 걸리지 않을 경우.
엔진이나 엔진오일 등의 이상이 확인 될 경우 점검 진행.
STEP 04
키를 돌려도 반응이 없을 경우.
키 박스가 불량(배선점검)일 경우 교체.
스타터모터 불량일 경우 점검 진행.
배터리 오래 쓰기
배터리 오래 쓰는 방법
• 시동이 걸려있지 않을 경우에는 DMB, 오디오, 시트, 윈도 등 전장품 사용을 자제하세요.
• 운행이 적은 차량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30~40분 정도 시동을 걸어 놓으셔야 합니다.
• 장시간 주차할 경우에는 블랙박스 전원을 꺼 두세요. 블랙박스 작동으로 방전이 잦습니다.
• 여행, 출장 등 장기간 주차할 경우에 음극( - ) 단자를 분리해 놓으면 방전이 되지 않습니다.
배터리 특성과 원리
배터리란 두 가지의 상이한 전극을 전해액 속에 적셔 각 전극의 활물질과 전해액이 갖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서 양극과 음극을 연결한 외부 회로에서 전기적 작업을 시킬 수 있는 작용을 가진 것을 말합니다.
즉 각부의 회로에서 전기적 작업을 시키기 위하여 전극의 활물질이 화학변화를 일으킨 후, 역으로 전기에너지를 외부로부터 가하면 전극의 변화된 활물질을 다시 본래의 물질로 환원시킬 수가 있습니다.
이때 전기에너지를 배터리로부터 끌어내는 것을 방전(放電)이라 하고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가하는 것을 충전(充電)이라 합니다.
이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물질을 배터리라 합니다.
1. 방전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음극판의 해면 상연과 양극판의 과산화
연은 황산연으로 변하고 전해액인 묽은 황산은 극판의 활물질과 반응하여 물로 변하여 비중이 떨어집니다.
쉽게 표현하면 방전이라 함은 배터리에 저장하였던 전기를 뽑아 쓰는 것을 말합니다.
2. 충전
전기에너지를 충전기를 사용하여 화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서 방전의 역반응입니다.
음극과 양극의 황산연은 충전기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전기에너지를 가역시키면 양극판은 과산화연, 음극판은 해면상연으로 변하고 전해액은 극판의 활물질과 반응하여 비중이 규정 비중까지 올라갑니다.
3. 방전종지전압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어느 정도 방전하면 그 후의 전압 강하는 매우 급격하며, 배터리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일정선 이상 방전하지 않기 위하여 어느 한도를 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점을 방전종지전압이라 하며,
통상적으로 극판의 형태에 따라 방전종지전압은 변합니다.
자동차용 배터리 방전 종지전압 : 1.75V
산업용 배터리 방전 종지전압 : 1.80V
4.자기방전
배터리 용량 손실의 하나로 충·방전 중 및 개로의 상태에서도 자기방전이 이루어집니다.
이 자기방전의 원인에는 화학적인 것과 전기적인 것이 있으며 전기적인 원인을 내부 단락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자기방전이라 하면 화학적인 원인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을 말하고,
외부에 방전함이 없이 축전지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배터리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말합니다.
①온도와 자기방전 전지 온도가 높을수록 자기방전량은 증가하고, 이 증가의 비율은 온도 25℃까지에는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가속적으로 증가합니다.
②시기와 자기방전 자기방전은 충전완료 직후가 가장 많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또 축전지가 신품일때는 자기방전이 작고 오래된 것일수록 자기방전이 많아집니다.
자동차 배터리의 세가지 기능
① 엔진을 시동할 때 시동전동기 및 점화계통에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한다.
② 램프, 라디오, 히터 및 부속품의 전기적 요구가 발전기의 출력보다 많을 때 이들의 장치에 단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③ 배터리는 전기계통의 전압 안정장치 역할을 한다.
차가 만족스럽게 운전되기 위해서는 이들 모든 기능을 제 성능을 발휘하여야 하며, 또한 이들의 기능을 충분히 달성하기 위하여 축전지는 항상 만충전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엔진 시동과 배터리
① 엔진 시동 배터리는 스타터와 결합되어 엔진을 돌리고 또 점화코일, 배전기 및 점화 프러그에 의하여 연료에 점화시킴으로써 엔진을 시동한다.
② 온도와 엔진시동 0℃이하에서 특히 -10℃를 넘는 경우에 엔진의 시동은 어렵게 된다. 즉,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엔진을 돌려야 할 힘은 증가하고 배터리의 출력은 감소된다.
③ 배터리의 방전상태와 엔진시동 축전지의 방전상태가 문제되는 것은 역시 저온상태에 있어서이다.
상온에 있어서는 90%부근까지 방전된 배터리라도, 다른 이상이 없는 한 시동은 가능한 것이다.
보통 사용상태에서는 90%부근까지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어 상온에서 수명이 다 된 때를 제외하고는 시동이 안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0℃이하에서는 방전상태가 엔진의 시동 곤란에 미치는 영향은 대수적으로 커진다.
-10℃ 이하에서 배터리가 50%이하로 방전이 되었다면 엔진의 시동은 어려우므로 배터리는 항상 70~80%이상 충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엔진오일의 상태와 엔진시동 상온에서의 엔진오일의 점도(粘度)는 종류에 따라 별 차이가 없고 온도의 변화에 따른 점도의 변화도 그렇게 크지는 않다.
그러나 저온이 되면 엔진오일의 종류에 따른 점도의 차도 크고, 또 온도에 대한 변화도 극히 커진다.
저온에서 엔진의 회전저항이 증가하는 원인은 전부 온도특성에 따른 윤활유 점도의 차이에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배터리 취급 및 보관 방법
1. 배터리의 보관은 직사광선을 피하고 온도와 습도가 낮은 곳에서 보관합니다.
2. 배터리는 반드시 바로 세워 놓아야 합니다.
3. 배터리 위에는 액체 물질이나 전기가 통하는 고체 물질을 놓아서는 안 됩니다.
4.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망치 등으로 단자를 두드리는 것은 위험합니다.
폐배터리는 왜 수거되어야 하나요?
배터리의 주 구성 원재료는 크게 납과 폴리프로필렌이라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표기된 리사이클 마크는 수명이 종료된 배터리를 파쇄하여 납과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폐배터리는 지정폐기물로써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물질입니다.
배터리 교체로 인해 차량 내부 시계 및 오디오는 재설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배터리의 교체는 정확한 순서에 의해 안전하게 행해져야 합니다.
• 배터리를 교체하기 전에 반드시 시동을 끄고 Key를 빼야 합니다.
• 단자를 떼어낼 때는 쇼트되지 않게 주의합니다.
• 배터리의 장착 대 및 케이블이 부식되어 있을 시, 브러싱 후 장착합니다.
• 공구 등에 의해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고정 지지대 및 단자 클램프는 가능한 최대로 조여서 흔들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배터리 취급 유의사항
• 배터리에 균열, 파손, 누액 유·무를 확인하여 주십시오. 이상이 있는 제품 적용 시 차량 회로에 이상을 줄 수 있습니다.
• 배터리는 장착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용량의 제품으로 교체하여 주십시오.
• 배터리는 차량의 극성과 동일한 제품을 적용하여 주십시오. 연결된 케이블의 손상이나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배터리 이동 및 취급 시 고무장갑을 착용하여 주십시오. 전해액이 피부에 닿았을 경우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차량에 두 대의 배터리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장착된 배터리 두 대에 대해 동일한 용량의 제품으로, 같은 시기에 생산된 배터리로 교체하셔야 합니다.
배터리 모델에 80R, 80L은 무엇이죠?
배터리 모델에 숫자와 그 옆에 R,L이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할 수 있는 전류값의 용량과 극성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이의 수치가 높을수록 오래 쓸 수 있고 순간 출력이 좋아 시동이 용이합니다.
R,L 표기는 단자의 위치를 표기하는 것으로서 RIGHT와 LEFT의 약자입니다.
양쪽 단자를 몸 쪽으로 두고 볼 때에, 음극(-)단자가 왼쪽에 있으면 'L' 타입이고 오른쪽에 있으면 'R' 타입니다.
단자의 위치일 뿐 성능은 같습니다.
과충전 현상과 조치 사항
자동차의 알터네이터(발전기)에서는 보통 약 13.8V~14.4V의 전기를 발전시켜 12V 정도로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여 줍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15V 이상의 전기가 공급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과충전 상태가 됩니다.
과충전이 되면 전해액이 급격히 감소되고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며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됩니다.
이럴 경우 차량의 충전장치를 점검 수리한 후에 배터리를 장착해야만 배터리의 손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차량이 아닌 일반 충전기로 충전을 시켜줄 때도 과도한 전류로 충전을 시켜주면 과충전 현상이 발생하여 배터리의 손상을 가져옵니다.
그러므로 적정한 전류로 배터리를 충전시켜 주어야만 합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전압(V) 측정입니다.
배터리 센서(IBS) 초기화 방법
전자제품 같은 요즘 차량은 배터리를 소홀히 할 수 없는 부품이 되었습니다.
배터리는 차량에 존재하는 각종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시동, 연료 공급, 에어컨, 오디오, MDPS, ECU, ISG 등 요즘 최첨단 안전기능 및 편의 장치들에게까지 전원공급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렇듯 자동차에 장착된 컨트롤 전기 장치들에 장착된 센서들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받고 이를 통해 자동차의 시스템을 제어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겠습니다.
IBS 센서(Intelligent Battery Sensor)는 지능형 배터리 센서라고도 칭합니다.
IBS 배터리 센서는 배터리의 전압 값, 전류값, 온도값을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값들을 측정하여 자동차의 ECU에 전송하게 됩니다.
ECU는 그 값을 가지고 기본적으로 입력되어 있는 엔진의 종류와 배터리의 용량 등을 계산하게 됩니다.
이를 알터네이터에 전달시켜 발전을 시킬 것인지 시키지 않을 것인지 IBS 센서를 통해 전달을 하는 역할을 합니다.
IBS 센서 즉 배터리 센서 초기화 방법은 자동차를 구입하면 콘솔에 들어있는 자동차 취급설명서에 안내되어 있습니다.
배터리를 교체 후에 재조립된 상태라면 IBS 센서를 초기화 시켜줘야 합니다.
IBS 센서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배터리의 수명도 짧아지게 됩니다.
IBS 센서가 비정상적으로 작동을 하고 있다면 알터네이터는 지속적으로 충전만 하게 되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여야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BS 센서의 초기화 방법
자동차 배터리 마이너스 단자에 장착되어 있는 IBS 센서 초기화 작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자동차 음극에 있는 배터리 센서 커넥터를 분리 후 약 2~5분 정도 대기후 커넥터 조립.
2. 보닛을 닫고 리모컨을 통해 도어 열림을 누른 후 기다리면 자동차는 스스로 도어를 잠그게 됩니다.
3. 잠겨있는 것을 확인 후 4시간 동안 리모컨 조작 등 차량에 대한 어떠한 전기적인 작동을 금함.
4. 4시간이 경과된 후 리모컨으로 도어를 열고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 (ACC→키 ON→키OFF) 세 번 반복 후에 시동을 걸어줍니다.
위와 같이 진행하면 IBS 센서 초기화는 완성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해도 IBS 센서가 초기화가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차량 출고 후에 추가로 장착된 원격 시동 경보기나 기타 전기장치 때문입니다.
그럼 이런 차량들은 어떻게 IBS 센서를 초기화 시킬 수 있을까요?
출고 후 추가로 장착된 경보기 등은 매뉴얼을 보고 시스템 정지 모드로 설정한 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